칼비테의 자녀 교육법이라는 책을 소개합니다~
결국에 자기 자랑 같기도 하지만 아무튼...;;
1. 저자소개 : 칼 비테(Karl witte)
※아버지랑 자식이 이름이 같네요ㅎ;;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천재였던 Jr. Karl Witte의
아버지이자 목사였다.
그는 미숙아로 태어난 아들을 독특한 교육이념과 방법으로
훌륭하게 길러낸 경험을 바탕으로
1818년에 저술한 《칼 비테의 교육(The Education of Karl Witte)》이란 책은
조기교육 이론서로써 지난 200년 동안 영재교육의 “경전”으로 불리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호응을 받고 있다.
그의 아들 칼은 아버지의 철저한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9세 무렵 6개 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였으며,
또한 그는 10세에 최연소로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하여
13세에 괴팅겐 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6세 때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곧바로 베를린 대학의 법학부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프러시아 왕의 명을 받아 18세에 이탈리아에 유학하여
법률공부와 함께 단테에 흥미를 가지고
종래의 단테 학자들의 오류를 지적하는 《단테의 오해》라는 유명한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1883년 83세로 그 눈부신 생애를 마감할 때까지 국왕의 뜻에 따라
독일의 각 대학에서 법학 강의를 계속하였다.
==========================================================
2. 교육이념
①아이의 실수를 인정하는것은 아이가 좌절을 딛고
성공으로 나아가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②경청은 아이가 스스로 존중과 관심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서
자신의 능력을 더 적극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③아이의 창의력은 많이 움직이고 생각하며 문제를 제기할때 발달하므로
부모는 아이의 엉뚱한 물음에도 인내심있게 대답해야 한다.
④가정교육이 잘못되면 아이가 최고의 전문가에게 교육을 받아도 효과가 미미하다.
==========================================================
3. 차례
※챕터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다.
#1. 엄마가 먼저 변해야한다.
민족의 운명은 어머니의 손에 달려있다.
----------------------------------------------------------
#2. 사람은 누구나 똑같이 태어난다.
하지만 어떤 환경에서 자랐는가에 따라
누구는 천재나 영재가 되고 누구는 평범한 사람 심지어 바보가 된다.
하지만 적절한 교육을 받으면 평범한 아이도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다.
교육의 목표는 아이가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
아이의 잠재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줄어든다.
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교육을 시작해야 한다.
----------------------------------------------------------
#3. 지능발달의 최적기를 놏치지 않아야 한다.
아이가 즐겨먹는 음식이 곧 보약이다.
건강한 마인드를 유지하게 한다.
오관(눈,코,귀,혀,피부)을 훈현시켜 대뇌발달을 촉진시켜라.
생후 15일부터 단어를 가르친다.
기초적인 발음/주변의 사물/재미있는 이야기로/어휘량을 풍부하게 한다.
불완전한 말과 사투리를 가르치지 않는다. (멍멍이 X, 강아지 O)
기억력/창의력/상상력을 개발하라.
----------------------------------------------------------
#4. 평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흥미를 키우며 문제를 제기하게 한다.
게임을 활용하여 놀면서 아이의 능력을 키운다.
이야기를 들려주어 흥미를 유발한다.
유아기때 기초를 튼튼하게 다지면 열 살 정도가 됐을때 대학생에
뒤치지 않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5. 아이에게 세상의 진면목을 알려주는 것은 매우 잔인한 일이다.
하지만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 세상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중요하고 또 반드시 필요하다.
#6.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어릴때 부터 가르친다.
믿지않음,이익쟁취 등에 대한 교육을 한다.
격려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치고 격려한다.
----------------------------------------------------------
#7. 아이의 성격은 대다수의 경우 아이가 종합적으로 발전하고
좋은 성과를 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8. 아이를 우습게 보지말라.
아름다운 본성과 자성을 갖게 한다.
어려도 알 건 다 안다.
솔선수범하고 아이를 존중한다.
어릴때 교육 시키지 않으면 늦는다.
스스로 자기 일을 하게 한다.
----------------------------------------------------------
#9. 어떤 교육이 아이를 안 다치게 할까
아이의 자존심을 지켜주며 올바른 방법으로 꾸짖는다.
엄격하되 강압하고나 강제하지 않는다.
부모가 진심으로 자신을 사랑하고 아낀다고 느끼게 해주어라.
----------------------------------------------------------
#10.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놀이
눈가리고 무엇인지 맞추는 놀이
숫자세기 놀이(바둑알 콩 등)
동상 따라하기 놀이
카드 놀이
----------------------------------------------------------
#11. 칭찬을 자주 해주며 자신감을 키워준다.
실패를 대하는 법을 가르친다.
용기를 잃지 않게 한다.
부모의 격려는 아이를 지식의 바다로 인도해 책을 읽고
실험을 하며 무궁무진한 즐거움을 누리게 할 수 있다.
아무때나 칭찬하면 안된다.
----------------------------------------------------------
#12. 존경받는 부모는 자신에게 엄격하고 모범적이며
아이에게 아름다운 인격을 키워주고 좋은 조건을 제공한다.
돈을 사용하는 법을 가르친다.
품행표, 행동기록장을 작성한다.
독서와 노동은 아이의 문제점을 고치는데 도움이 된다.
----------------------------------------------------------
#13. 집중.빨리.최선을 다하는, 포기하지 않는 습관을 키워준다.
----------------------------------------------------------
#14. 아이가 자만하지 않도록 한다.
칭찬의 수위를 조절한다.
너무 자주 칭찬하지 않는다.
----------------------------------------------------------
#15. 아이가 나쁜 습관에 물들지 않게 한다.
아이가 기분이 나쁠 땐 되도록 신경을 건드리지 말아야 하고,
어려움을 겪을 땐 괜한 말로 자극하지 말고 평정을 되찾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천천히 지도하는 것이 좋다.
부모는 아이의 나쁜 성격에 상을 줘서도 안 되고 벌을 줘서도 안 된다.
화를 내면 원하는 것을 얻기는커녕 오히려 잃게 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아이가 어떤 일을 할 때 부모들은 늘 "하지마." "안돼.""그만둬."라고 말하는데
이런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말은 아이에게 무력감과 열등감을 안겨준다.
난 늘 "이렇게 해봐." "열심히 하렴."과 같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격력의 말로
칼을 지도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심어줬다.
음식물을 많이 섭취해서 위를 피로하게 만들면 대뇌기능이 약해지고 멍청해진다.
----------------------------------------------------------
#16. 좋은 마인드를 키운다.
용기는 사람을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만드는 원동력이다.
과보호는 의존성만 키워서 아이가 자신감과 용기를 잃고 열등감에 시달리게 만든다.
또한 장시간 이런 환경에 노출되면 아이가 심리적으로 균형을 잃고 부모에게 반항하게 된다.
부모가 아이의 일을 도맡아 하는 것은 아이의 능력과 용기를 의심하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가 능력을 단련할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 것이거니와
아이의 적극성에 공격을 가하는 것이다.
심리적 수용력을 키우기 위해서 힘든 상황 속에서도 스스로 현실을
직시하게 돕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조용한 게임으로 자제력을 키워준다.
다방면에 두루 발전한 사람으로 만드는 것
미신과 무서운 이야기로 정신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
----------------------------------------------------------
#17. 사람들과 어울리는 법을 가르친다.
경청은 부모가 아이에 대한 사랑과 존중을 표현해서 아이가 자신의 능력을
인식하게 만드는 좋은 교육방법이다.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데 주저하지 않고,
가정,학교,사회에서 일어난 각종 문제도 용감하고 자신 있게 처리한다.
가족 회의를 한다.
우리 부자에게 가장 아름답고 중요한 때는 저녁식사 시간이었다.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었다.
칼은 모두가 자신의 말을 즐겁게 들어주는 것에서
스스로 존중받고 있는 것을 느꼈다.
가족간에 감정이 소원해지거나 아이의 성격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서로 이해가 부족하고 교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타인을 이해하고 서로 원활하게 교류해야 종합적으로 발전한 사람이 될 수 있다.
----------------------------------------------------------
#18. 난 단지 칼이 완벽에 가까워져 즐겁고 행복하게 인생을 살길 바랬다.
예술,감정,배려의 감정을 중요하게
----------------------------------------------------------
#19. 칼은 책상 앞에 앉아있기보다 대부분의 시간을 놀고 운동하며 보냈다.
----------------------------------------------------------
☞한 줄로 독서평 : "잘 들어주고 잘 놀아주라는 이야기인것 같다."ㅎㅎ
'4. 육아 및 교육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RMAS 바운서!! 생각보다 괜찮네~!! (0) | 2019.06.02 |
---|---|
버튼 하나로 분유 타주는 신박한 육아템~~!! (0) | 2019.05.22 |
칼비테의 "공부의 즐거움" (2) | 2019.04.24 |